블로거

평백 누백 뜻이 뭔가요? 알아볼게요

두릅기자 2024. 4. 15. 23:58
반응형

 

 

평백과 누백은 모두 대학 입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수험생들이 자신의 성적과 대학의 입학 기준을 이해하고 비교할 때 중요한 지표입니다. 각각의 용어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1. 평백 (평균 백분위):

  • 평균 백분위의 줄임말로, 여러 과목의 백분위를 모두 더한 후 과목 수로 나눈 값입니다.
  • 예를 들어, 국어, 수학, 영어, 탐구 등의 과목에서 각각의 백분위를 합산한 후 과목 수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 정시에서는 고려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과목 간 가중치가 서로 다르고, 대학별 입시 정책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평백은 입시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하나로, 여러 과목의 성적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평균 백분위"의 준말로서, 여러 과목의 백분위를 모두 합산한 후 해당 과목 수로 나눈 값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수험생의 전반적인 성적을 하나의 지표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평백은 일반적으로 수능 시험 성적을 바탕으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국어, 수학, 영어, 탐구 등의 과목에서 백분위를 각각 구한 후 이를 모두 합산합니다. 그리고 이를 과목 수로 나누어 평균을 구합니다. 이 평균 값이 평백이 됩니다.

평백은 수능 성적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데 사용되지만, 입시에서 절대적인 중요성을 갖지는 않습니다. 이는 과목 간의 가중치나 대학별 입학 정책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대학은 특정 과목의 성적을 특히 강조하는 경우가 있어 해당 과목의 성적이 평균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평백은 수험생의 전반적인 성적을 파악하거나 대학의 입시 기준과 비교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평균적인 성적을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에 개별 과목의 성적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평백을 평가할 때에는 각 과목의 성적과 함께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누백 (누적 백분위):

  • 누적 백분위는 자신의 수능 점수가 상위 몇 %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정확한 계산 방법이 존재하지 않으며, 대부분 대학들은 자체적인 점수 반영 방식을 사용합니다.
  • 주로 서울대식 누백이 사용되며, 이는 영어 등급의 차이에 따른 누백 차이를 줄이고, 최고 수준의 대학을 기준으로 설정됩니다.
  • 누백은 대학의 라인을 파악하거나 자신의 위치를 대략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누백(누적 백분위)은 입시에서 사용되는 지표 중 하나로, 수험생이 전체 응시자 중 자신의 위치를 백분위로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는 수능 성적을 비롯한 다양한 입시 시험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누백은 개별 과목의 성적을 종합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수험생의 성적을 전체 응시자 집단에 비교하여 상대적인 위치를 보여줍니다.

자세히 설명하면, 누백은 수험생이 해당 시험에서 상위 몇 퍼센트에 속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90누백"이라고 하면 해당 수험생의 성적이 전체 응시자 중 상위 90%에 해당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해당 시험에서의 상대적인 성적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

누백은 다양한 방법으로 계산될 수 있습니다. 주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는 대학별로 점수를 부여하고, 그 점수를 전체 응시자 집단에서의 순위로 환산하여 백분위로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대학마다 입시 정책이나 선발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대학별로 누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누백은 절대적인 수치가 아니라 상대적인 지표이기 때문에, 다양한 요인에 따라 해석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대학의 누백이 높다고 해서 항상 그 대학에 입학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대학의 입시 정책, 경쟁률, 전형별 가중치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누백은 수험생들에게 입시 대비를 위한 중요한 참고 자료이지만, 절대적인 성적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므로 다른 요소들과 함께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합니다.

 

누백과 평백은 모두 수험생들이 대학 입시에 대한 정보를 이해하고 대비하는 데 도움을 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그러나 과목 간 가중치나 대학의 입학 정책 등을 고려해야 하며, 정확한 점수를 예측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