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고졸 검정고시 합격 기준과 수능 없이 대학에 진학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과락 때문에 고생했는데 지금은 괜찮을까?"라는 질문부터 "어떤 대학을 갈 수 있을까?"까지 꼼꼼히 정리했어요!
✅ 2024 최신 검정고시 합격 기준
1. 과락 제도 폐지
- 2014년 이전: 각 과목 40점 미만 시 불합격
- 현재 규정: 총점 420점 이상 (6과목 평균 60점)만 충족하면 합격
→ 한 과목 0점이라도 총점만 넘기면 OK!
2. 기존 합격 과목 인정 여부
- 과목 합격 제도는 2014년 폐지됨
- 단, 이미 취득한 점수는 누적 적용 가능
예시:- 이전 시험에서 5과목 400점 + 영어 40점 → 총 440점 (합격)
- 재응시 시 영어 0점 → 총점 400점 (불합격)
→ 재응시 전 점수 계산 필수!
📌 실제 사례로 보는 합격 계산법
구분국어수학영어사회과학도덕총점
기존 | 85 | 80 | 40 | 90 | 85 | 80 | 460 |
재응시 | - | - | 0 | - | - | - | 420 |
⚠️ 주의: 재응시 시 전체 과목을 다시 치르지 않아도 되지만,
새로운 시험의 총점이 42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
(과목별 점수 유지가 아닌 재응시 시험 총점으로 계산)
🎓 수능 없이 진학 가능한 대학 리스트
1. 검정고시 + 특별전형
- 방송통신대학교: 서류+면접으로 선발
- 사이버대학교 (고려사이버대, 서울사이버대 등): 학업계획서 중심
- 지방 국립대 (경북대, 전남대 등): 성인학습자 전형 별도 운영
2. 전형별 준비물
- 학업계획서: 구체적인 목표와 계획 제시
- 면접: 직장 경험/자격증 활용 전략
- 추천서: 직장 상사나 지역기관장 추천서 추가 점수
3. 추천 학과
- 사회복지학과
- 평생교육학과
- 실용음악학과 (포트폴리오 제출 가능)
💡 성인 학습자 필수 꿀팁
- 학점은행제: 자격증/경력으로 학점 인정받기
- 장학금: 국가장학금 + 대학별 성인 학습자 장학금
- 온라인 강의: 직장과 병행 가능한 사이버대 활용
"30대, 40대도 얼마든지 도전할 수 있습니다.
2024년 기준 40세 이상 신입생 비율 27% 돌파!"
❗ 절대 하지 말 것
- 무작정 모든 과목 재응시 → 시간 낭비
- 검정고시 총점 계산 없이 서둘러 지원 → 불합격 위험
- 학위 미달 대학 선택 → 취업시 인정받기 어려움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유 부탁드려요! 🌟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답변드립니다.
여러분의 학업 계획이 빛나길 응원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