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종합병동은 다양한 질환을 가진 환자가 혼재하는 만큼, 신규 간호사에게는 체계적인 지식과 빠른 상황 대처 능력이 요구됩니다. 이 글에서는 신규 간호사가 반드시 숙지해야 할 구체적인 내용을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 환자 안전을 지키고 자신감 있는 간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꼭 확인해 보세요!
1. 기본 중의 기본: 의학적 지식 & 간호 기술
(1) 주요 질환별 간호 포인트
- 폐렴 환자:
- 호흡기 관리 (산소 투여, 체위 변경)
- 객담 배출 촉진을 위한 복압 유지 및 타진
- 항생제 투여 시간 준수 및 부작용 모니터링 (설사, 발진 등)
- 당뇨 환자:
- 혈당 측정 주기 (식전/식후 2시간) 및 인슐린 투여법
- 저혈당 증상 대비 (진탕당, 포도당 정맥주사 준비)
- 수술 후 환자:
- 드레싱 교환 시 감염 징후 확인 (발적, 삼출액, 열감)
- 통증 점수 (NRS) 평가 및 진통제 투여 원칙
(2) 필수 임상 기술
- V/S (생체징후) 측정 정확도 향상법:
- 혈압: 커프 위치, 팔 높이 맞추기
- 호흡수: 환자 모르게 측정 (가슴 움직임 관찰)
- IV 라인 관리:
- 부위별 주입 가능 약물 구분 (말초 vs 중심정맥)
- 삼출/감염 시 즉시 교체 및 의사 보고
- 산소 치료 장비 활용:
- Nasal Cannula, Mask 유형별 적정 산소 농도 설정
2.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실무 프로토콜
(1) 환자 인계 시 체크리스트
- SBAR 방식 활용:
- **S**ituation (현황): "65세 남성 폐렴 환자, 현재 SpO2 92% 유지 중"
- **B**ackground (배경): "당뇨 병력, 인슐린 10단위 투여 중"
- **A**ssessment (평가): "오전부터 미열(37.8℃) 지속"
- **R**ecommendation (제안): "체온 30분 후 재측정 요청"
- 중증도 분류:
- NEWS (National Early Warning Score) 점수 계산법 숙지
- 점수별 대응 절차 (예: NEWS ≥5 → 즉시 의사 호출)
(2) 투약 관리 원칙
- 5 Rights 준수:
- Right Patient, Drug, Dose, Route, Time
- 전자차트와 실제 환자 이름표 대조 필수!
- 고위험 약물 주의:
- 항응고제 (헤파린): 출혈 징후 모니터링 (잇몸, 소변)
- 항암제: 이중 장갑 착용 및 노출 시 대처법 숙지
3. 응급 상황 대처 매뉴얼
(1) 호흡곤란/쇼크 발생 시
- 즉시 조치:
- 호흡기 확보 (Airway), 산소 공급 (15L/min via Non-rebreather Mask)
- IV 라인 확보 및 수액 투여 (의사 지시 전 NS 500mL 유지)
- 의사 보고 포인트:
- 활력징후, 의식 상태, 산소 공급 후 반응
(2) 심정지 대응 (BLS)
- CAB 순서:
- Chest Compression (가슴 압박): 분당 100~120회, 깊이 5~6cm
- Airway (기도 개방): 머리 뒤로 젖히기-턱 들어올리기
- Breathing (인공호흡): 30회 압박 후 2회 호흡 (장비 사용 시 AED 우선)
4. 문서화 및 법적 주의사항
(1) 간호 기록 작성 요령
- SOAPIE 형식:
- Subjective (주관적 자료): "환자 본인 호소: '가슴이 답답해요'"
- Objective (객관적 자료): "BP 150/90, HR 110회/분"
- Assessment (평가): "협심증 의심됨"
- Plan (계획): "니트로글리세린 설하 투여, 의사 통보 완료"
- Intervention (중재): "산소 2L 투여, EKG 모니터링"
- Evaluation (평가): "투여 5분 후 증상 호전"
(2) 법적 리스크 관리
- 간호사의 의무:
- 의사 보고 의무: 환자 상태 악화 시 10분 내 보고
- 환자 동의서 확인: 수술·시술 전 서명 여부 재확인
- 증거 보존:
- 폐기된 약물 포장지, 사용한 혈액 백 보관 (24시간)
5. 신규 간호사 생존 꿀팁
(1) 스트레스 관리법
- 시간 관리:
- 투약·검사 시간표 미리 작성 → 우선순위 결정
- 교대 30분 전 차트 리뷰로 업무 준비
- 멘토 활용:
- 궁금한 점은 즉시 질문 (예: "이 약물 병용 금기인가요?")
(2) 필수 준비물
- 개인 장비:
- 혈압계 청진기, 손전등, 포켓 노트 (참고용 약어/용량 수첩)
- 디지털 도구:
- 의약품 검색 앱 (예: "드럭인포"), 간호 진단 핸드북
6. 실전 예시로 배우는 시나리오
Case 1: 당뇨 환자의 저혈당 대응
- 증상: 식은땀, 진전, 의식 혼탁
- 즉시 조치:
- 혈당 측정 (70mg/dL 미만 확인)
- 진탕당 1포 구강 투여 (의식 없을 경우 포도당 정맥주사)
- 15분 후 재측정 및 의사 보고
Case 2: 수술 후 통증 호소 환자
- 평가: 통증 위치/강도 (NRS 8/10), 통증 유발 요인 확인
- 조치:
- 처방된 진통제 투여 (예: Tramadol 50mg IV)
- 차가운 찜질 적용 및 안위 증진 체위 유지
- 30분 후 재평가 및 기록
마무리
종합병동은 신규 간호사에게 체력적·정신적 어려움이 따르지만, 체계적인 준비와 꾸준한 학습으로 극복할 수 있습니다. 환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고, 동료 간호사와의 소통을 통해 성장해 나가길 응원합니다!
📌 추천 자료:
- 한국간호과학회 핵심간호술 동영상
- 《신규간호사 실무핵심가이드》 (메디컬코리아 출판)
- 의료기관별 EMR 매뉴얼 (병원 내부 시스템)
※ 본 내용은 일반적인 지침이며, 각 병원의 프로토콜을 우선적으로 따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