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게임

팰월드 뉴비 공략 + 스텟 찍는 방법 (추천 스텟 및 초보자 가이드)

두릅기자 2024. 1. 29. 14:32
반응형

 

안녕하세요, 서윗남입니다.

 

오늘은 너무너무 핫한 게임인 팰월드에 대한 게임 공략 및 스텟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팰월드의 초보자 혹은 플레이한 지 얼마 안 된 상태에서 알면 유용한 팁 몇 가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기본적으로 이 게임은 PVP가 아니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과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설정한 월드에서 플레이합니다. 게임에서 오브젝트 HP 비율을 조정하면 벌목, 채굴 등의 노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특히 1로 설정된 것을 0.5로 바꾸면 노동 시간이 두 배로 단축됩니다. 이렇게 설정을 통해 게임의 밸런스를 해치지 않으면서도 플레이를 빠르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거점은 광맥이 있는 곳에 지휘하는 것이 좋습니다. 광맥은 채석장과 벌목장을 통해 무에서 유를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초반에는 쇠락한 교회 근처의 70-401 지점이 좋은 선택입니다. 여러 거점 중에서도 광맥이 모이는 곳이 중요하니 잘 선택해야 합니다.

 

채집, 운반, 채굴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진 패는 초반에 중요한 동반자입니다. 각 패의 특성을 고려하여 활용하면 생존에 큰 도움이 됩니다. 초반에는 무게를 중점적으로 투자하고, 기력도 중요한 스탯 중 하나입니다. 기력은 회피, 달리기, 벌목, 채굴 등에 사용되므로 초반에 기력에도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좋습니다.

 

스테이터스 포인트를 쌓아 능력치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초반에는 무게를 높이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레벨 15에서 약재 제작대에서 얻을 수 있는 기역 삭제 약을 조심해서 사용하세요. 게임에서의 데스 페널티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정을 확인하여 적절히 조정하세요.

 

초반에는 활이 유용하며, 헤드샷이나 기습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밤에는 몬스터의 수가 감소하므로 밤에 활동하는 것이 더 쉽습니다. 각 펠의 특성과 상호작용을 파악하여 팀을 구성하고 전투에 임하면 더욱 효과적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팰월드 초반 생존과 팀 펠 관련하여 유용한 정보를 소개해드렸습니다. 이제 스텟에 관하여 알려드릴게요

 

팰월드 게임에서 올바른 스텟 분배 방법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팰월드 게임에서 스텟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많은 플레이어들이 어떤 스텟이 중요한지 혼란스러워하는데, 이 글을 통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실 수 있을 겁니다.

1. HP (Health Points):

  • HP는 기본 생존력을 높여주는 스텟입니다. 그러나, 현 버전에서는 방어 스텟이 작동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HP에 큰 투자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2. 기력 (Stamina):

  • 기력은 캐릭터의 스태미너를 높여주어 달리기나 스태미너 소모가 빈번한 활동에 도움이 됩니다. 적절한 기력은 생존과 이동에 큰 장점을 제공합니다.

3. 공격 (Attack):

  • 공격 스텟은 딜량을 높여주지만, 너무 낮지도 너무 높지도 않게 찍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부 플레이어들은 10% 정도 추가 공격이 적당하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4. 방어 (Defense):

  • 현재 버전에서는 방어 스텟이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방어 스텟에는 큰 투자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5. 작업 속도 (Crafting Speed):

  • 작업 속도는 편의성 기능으로, 패 배치 및 작업 시에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게임 플레이에 따라 필요한 만큼만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6. 소지 중량 (Carry Weight):

  • 소지 중량은 게임의 핵심 스텟 중 하나입니다. 광석 등 아이템을 많이 들고 다니는 플레이어에게 큰 도움을 주며, 던전 탐험 시에 필수적입니다. 무조건적으로 찍을 필요가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소지 중량을 중점적으로 투자하면서 기력과 공격 스텟을 적절하게 높이는 것이 팰월드 게임에서 효과적인 스텟 분배 방법입니다.

 

여러분의 플레이 스타일에 맞게 조절해보세요. 즐거운 게임 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