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느좋?” 이게 뭔 말이야… 요즘 애들이 쓰는 말 해석해드립니다 (아재들 필독)

두릅기자 2025. 6. 9. 23:22
반응형

블로그를 운영하다 보면 댓글이나 검색어, 커뮤니티에서 처음 보는 말들이 튀어나올 때가 있습니다. 분명히 한국어인데 무슨 뜻인지 도무지 모르겠고, 물어보자니 괜히 아재 인증하는 것 같고… 그럴 때 있지 않으셨나요?

오늘은 그중에서도 최근 10대들이 자주 쓰는 대표 신조어 ‘느좋’의 뜻과 함께, 지금 어린 친구들 사이에서 핫한 단어들을 한꺼번에 해석해보겠습니다.


1. “느좋” 뜻: 이거 모르면 진짜 ‘세대 차이’

‘느좋’ = 너 좋겠다
뜻 그대로 해석하면 “너 좋겠네?”라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이 단어에는 뉘앙스가 매우 중요합니다. 감정이 실리는 방식에 따라 뜻이 달라집니다.

  • 긍정적 뉘앙스
    친구가 치킨 먹는 사진을 올리면 → “느좋… 오늘 치킨이라니 부럽다”
  • 부정적, 비꼬는 뉘앙스
    친구가 자랑하면서 → “나 오늘도 남친이랑 카페 갔다옴”
    그러면 “느좋^^” ← 이런 식으로 비꼼이 담길 수 있음

※ 주로 부러움 + 약간의 질투 + 가벼운 비꼼이 섞인 감정


2. “카공”, “시강”, “억까” 등 요즘 말 쏟아지는 중

요즘 초중고생들 사이에선 의미를 축약하거나 줄임말로 만든 표현이 넘쳐납니다. 그중 자주 쓰이는 말들을 해석해볼게요.

■ 억까

억지로 까기
정당한 이유 없이 무조건 비난하는 사람을 지칭
예: “그건 억까지ㅋㅋ 뭘 해도 욕하네 진짜”

■ 시강

시선강탈
눈에 확 들어오는 장면이나 사람을 의미
예: “와 저 사람 의상 뭐야 시강인데”

■ 카공

카페에서 공부
예: “오늘 카공하러 강남 간다”

■ 댓싸

댓글 싸움
댓글에서 시비가 붙는 상황
예: “걔 또 댓싸 중이래 ㅋㅋ”

■ 당모치

당연히 모든 치킨은 옳다
치킨이 최고라는 뜻으로 농담식 표현
예: “오늘 치킨 어때?” → “당모치지”

■ ~해버렸다

무언가를 실수하거나 해낸 상황
예: “밤새 넷플릭스 정주행 해버렸다”, “과제 밀렸는데 자버렸다”


3. 신조어 왜 이렇게 줄여 쓰는 걸까?

요즘 Z세대는 간결한 표현, 텍스트 기반 소통, 위트와 밈 중심 문화에 익숙합니다. 복잡하게 쓰지 않고 짧고 임팩트 있게 표현하는 게 특징입니다.

또한 유행이 매우 빠르게 변하기 때문에, 짧고 중독성 있는 표현이 오래 살아남는 경향이 있습니다. 신조어는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세대의 감성과 문화를 반영하는 언어입니다.


4. 신조어 모르면 소통 불가능? 그렇진 않지만…

  • 어른들이 신조어를 억지로 따라 하려고 하면 오히려 ‘어색’하다는 반응이 많습니다.
  • 다만 아이들이 무슨 말을 하는지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공감대 형성에 큰 도움이 됩니다.
  • 부모님이라면 아이가 쓰는 말이 ‘욕’인지 아닌지 정도는 알고 있어야 갈등도 줄일 수 있겠죠.

5. 마무리: 모른다고 창피할 필요는 없다

‘느좋’이 뭔지 몰랐다고 해서 아재, 꼰대가 되는 건 아닙니다. 언어는 시대에 따라 계속 바뀌는 것이니까요. 오히려 이런 걸 흥미롭게 바라보는 여유가 더 멋진 태도일지도 모릅니다.

혹시 요즘 아이들이 쓰는 이상한 말이나 채팅에서 본 단어가 있는데 무슨 뜻인지 모르시겠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다음 글에서 또 모아서 해석해드리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