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종합병원 환자 입원 시 카덱스(Kardex) 작성 방법 및 필수 질문 목록
두릅기자
2025. 2. 23. 14:53
반응형
카덱스(Kardex)는 환자의 입원 정보를 체계적으로 기록하는 도구로, 의료진이 신속하게 환자 상태를 파악하고 일관된 치료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정확한 카덱스 작성을 위해 필요한 질문 사항과 작성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합니다.
1. 카덱스의 기본 목적과 구조 이해
- 목적: 환자의 진단명, 치료 계획, 간호 중점 사항, 주의 사항 등을 요약하여 의료진 간 정보 공유를 효율화합니다.
- 구성 요소:
- 환자 인적 정보
- 의학적 진단 및 치료 계획
- 간호 계획 및 주의 사항
- 특이 사항 (알레르기, 낙상 위험 등)
2. 카덱스 작성 전 확인해야 할 필수 정보
(1) 환자 기본 정보
- 환자 성명, 연령, 성별
- 등록번호, 입원일자, 병실/침대 번호
- 주치의 성명, 담당 간호사
(2) 의학적 정보
- 주 진단명: 입원 사유가 되는 주요 질환
- 부수적 진단: 기저질환 (고혈압, 당뇨 등)
- 알레르기 여부: 약물, 음식, 환경 알레르기 유무
- 수술 이력: 과거 수술명 및 시기
(3) 치료 계획
- 투약 현황: 처방된 약물명, 용량, 투여 경로 및 시간
- 수술 또는 시술 예정일: 예정된 절차와 준비 사항
- 검사 계획: 혈액 검사, 영상 촬영 등
3. 카덱스에 반드시 기재해야 할 질문 내용
1단계: 환자 상태 평가
- "현재 환자의 주요 증상은 무엇인가요?" (예: 통증, 호흡 곤란)
- "만성 질환이 있나요? 있다면 관리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 "낙상 위험 평가 결과는 어떻게 되나요?" (예: 보행 보조기 사용 여부)
2단계: 치료 및 간호 계획 수립
- "주치의가 지시한 치료 목표는 무엇인가요?" (예: 감염 관리, 통증 완화)
- "특별히 주의해야 할 투약 사항이 있나요?" (예: 혈액 항응고제, 면역억제제)
- "식이 제한이나 활동 제한이 필요한가요?"
3단계: 안전 및 특이 사항 확인
- "감염 관리가 필요한가요?" (예: 격리 병실, 개인보호구 착용)
- "의사소통에 장벽이 있나요?" (예: 언어 차이, 인지 장애)
- "문화/종교적 요구 사항이 있나요?" (예: 금식, 기도 시간)
4. 카덱스 작성 시 주의 사항
- 명확성: 전문 용어는 최대한 배제하고 간결하게 서술합니다.
- 최신화: 환자 상태 변화 시 즉시 내용을 수정합니다.
- 표준화: 병원 내 규정된 약어나 형식을 따릅니다.
- 팀 간 공유: 교대 근무 시 담당 간호사와 필수 정보를 공유합니다.
5. 작성 예시
[기본 정보]
- 성명: 홍길동 | 연령: 65세 | 성별: 남
- 입원일: 2023.10.05 | 병실: 301호 5번 침대
- 주치의: 김의사 | 담당 간호사: 박간호사
[의학적 정보]
- 주 진단: 폐렴
- 부수적 진단: 제2형 당뇨병, 고혈압
- 알레르기: 페니실린
- 수술 이력: 2019년 담낭 절제술
[치료 계획]
- 투약: Ceftriaxone 2g IV q24h, 인슐린 (아침 10단위)
- 검사: 매일 아침 CBC 검사
- 식이: 당뇨 식이 (1일 1,800kcal)
[주의 사항]
- 낙상 위험군: 보행 시 보호자 동반 필요
- 감염 관리: 표준 예방 조치
- 특이 사항: 종교적 이유로 돼지고기 금지
6. 자주 발생하는 오류 및 개선 방안
- 오류 1: 알레르기 정보 누락 → 해결: 환자 차트와 대조하여 재확인
- 오류 2: 투약 시간 불명확 → 해결: "오전 9시" 대신 "09:00"으로 기재
- 오류 3: 퇴원 계획 미기재 → 해결: 퇴원 예상일 및 교육 필요 사항 포함
마무리
카덱스는 환자 안전과 치료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핵심 문서입니다. 정확한 정보 기재와 팀원 간 소통을 통해 효율적인 간호 서비스를 제공하세요. 작성 후에는 담당 의료진과 내용을 검토하는 것이 오류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 참고: 각 병원의 카덱스 형식은 상이할 수 있으므로, 해당 기관의 매뉴얼을 우선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