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

트럼프 기업으로 본 미국과 한국 가족 승계기업의 차이

두릅기자 2024. 11. 15. 01:28
반응형

미국과 한국의 승계기업 구조와 경영 방식에는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트럼프 기업을 통해 본 미국의 승계기업과 한국의 가족 승계기업을 비교하면 몇 가지 주요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1. 승계 방식의 차이

  • 미국: 경영 능력을 바탕으로 한 승계
    미국의 승계기업은 대체로 능력주의를 기반으로 하며, 승계자가 반드시 가족 구성원일 필요는 없습니다. 트럼프 그룹의 경우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자신의 자녀들에게 회사 운영에 대한 일정한 역할을 부여했지만, 이를 위해서는 사업 감각과 관련된 능력을 보이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미국에서는 전문 경영인을 고용하거나, 승계자가 기업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었는지를 중요한 기준으로 삼는 경우가 많습니다.
  • 한국: 가족 중심의 승계
    한국의 대기업은 상대적으로 가족 중심의 승계가 강한 특징이 있습니다. 가족 간의 지분 승계를 통해 경영권을 유지하고, 회장 또는 대표가 자녀들에게 기업 운영을 승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때로는 경영 능력보다는 '가문'의 일원이기 때문에 승계가 이루어지기도 하며, 재산과 경영권 승계의 문제가 동시에 다뤄집니다.

2. 지배구조와 경영 방식의 차이

  • 미국: 주주 중심의 투명한 경영
    미국 기업들은 주주 가치를 중시하며, 이사회와 주주들의 권한이 상대적으로 강합니다. 승계를 위해 지배구조를 불투명하게 하거나 복잡한 지배 구조를 활용하기보다는, 철저한 법적 절차와 투명성을 유지하려고 노력합니다. 트럼프 조직도 사업 규모와 비즈니스 모델에 있어 투명한 구조보다는 '개인 브랜드'가 더 강조되는 사례였지만, 전체적으로는 주주 권한을 고려한 승계 방식이 주를 이룹니다.
  • 한국: 가족 지배구조와 복잡한 순환출자
    한국의 가족기업들은 대체로 복잡한 순환출자 구조나 지주회사 체제를 활용해 가족이 기업을 지배하는 형태를 유지합니다. 기업의 경영권 방어와 승계를 위해 다단계의 소유 구조를 만들거나, 가족끼리의 지분 분배로 권력을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기업의 자산을 가족 내에서 유지하고, 외부의 경영 개입을 막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곤 합니다.

3. 사회적 인식과 규제

  • 미국: 자본주의 사회의 일부로 인식
    미국에서는 가족 승계 기업에 대해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시각이 많습니다. 자본주의 사회의 특성상 개인의 성취와 부의 축적을 인정하는 경향이 있으며, 기업을 통해 쌓은 재산을 가족에게 물려주는 것이 자연스러운 것으로 간주됩니다. 다만 승계 과정에서 탈세나 불법적 관행이 적발되면 엄격한 법적 제재를 받습니다.
  • 한국: 정경유착 및 독과점 우려
    한국은 가족 기업의 승계 과정에서 불투명한 지배구조나 특혜, 정경유착 등의 문제가 자주 제기되며,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시각이 많습니다. 특히 대기업 승계 과정에서 상속세 회피, 불공정 거래, 내부 거래와 같은 이슈가 도마에 오르면서 사회적 비판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4. 브랜드와 이미지의 차이

  • 미국: 개인 브랜드의 승계
    트럼프 그룹처럼 미국 기업 중 일부는 '개인 브랜드'로 회사가 운영되기도 합니다. 트럼프의 자녀들은 각자의 브랜드 가치를 통해 기업의 이미지를 강화하려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합니다. 개인이 성공한 브랜드로 자리잡아 승계되는 방식은 대중적으로도 수용될 수 있습니다.
  • 한국: 기업 이미지 유지
    한국의 가족기업들은 가문과 기업의 이미지가 하나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아, 승계자는 기업의 전통을 이어받으면서도 대외적으로 책임을 져야 하는 부담이 큽니다. 한국의 대기업 회장들이 승계에 신중할 수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결론

미국의 승계기업과 한국의 가족기업 승계는 경영철학, 지배구조, 사회적 인식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미국은 승계의 합리성과 자본주의 원칙에 무게를 두는 반면, 한국은 가족 중심의 복잡한 구조와 권력 유지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문화적, 역사적 차이에 따라 형성된 결과로, 각각의 승계 방식은 각국의 경제와 사회적 환경을 반영합니다.

반응형